반쯤은 우스개스러운 얘기지만 이해하기 쉽게 코인별 티어를 정리했습니다.
일단 1티어로는 비트코인과 1.5티어 이더리움 그리고 2티어인 리플과 라이트코인
3티어로 비캐와 이오스 에이다 트론 네오 스텔라가 있습니다.
여기까지 1~3티어를 메이저 코인이라고 부릅니다.
(근데 여기서 개인적으로 이오스와 5티어의 넴은 자리를 바꾸느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에이다 스텔라 넴 이렇게 3개를 묶어서 3티어로 보긴 하거든요)
그리고 4티어로 비트코인SV와 요근래 새롭게 뜨고 있는 체인링크 폴카닷 테조스를 4티어 신 메이저 코인으로 봅니다.
5티어는 오미세고, 웨이브,카이버,스팀달러,코스모스,비골,비똥,쎄타토큰 등을 말하는데
그냥 알트코인이라 칭할 수 있습니다.
6~7티어는 시빅, 오에스티,마나,질리카,폴리매쓰,디마켓,모스코인 등등 있는데
여기서부터는 잡알트로 통하고 대체로 큰 펌핑으로 수익을 얻으시려는 분들이 자주 사는 코인들입니다.ㅎ
믈론 여기에 언급안된 코인들중 꾸준히 우상향하면서 새로운 알트코인,새로운 준메이저 코인을 노리는 코인들도 있는데
대표적으로 루나 코인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아무도 주목하지않았는데 한달사이에 400~500원대에서 2500원대까지 가더군요...
쎄타토큰 쎄타퓨엘 형제들과 비슷합니다.
다음으로 코린이분들이 생소할 수 있는 코인판과 카페에서 쓰이는 용어정리입니다.
--- 거래용어 ---
김프 : 국내가격이 해외가격보다 높을때 쓰는 말입니다.
역프 : 해외가격이 국내 가격보다 높을때 쓰는 말입니다.
떡상 : 미친듯이 코인가격이 상승할때 쓰는 단어입니다.
떡락 : 미친듯이 코인가격이 하락할때 쓰는 단어입니다.
추매 : 추격매수 ex)추매금지, 추매하세요~ 등으로 쓰이며 가격이 막 오르는데 추가로 코인을 사는 것을 뜻합니다.
혹은 가격이 낮아져서 추가매수 할때도 쓰이죠.
알트코인 : 비트코인을 제외한 모든코인
잡코인 : 시총이 순위권안에 못드는 낮은 코인들
익절 : 이익을 보고 판매하는 경우
손절 : 손해를 보고 판매하는 경우
재정거래 : 거래소마다 시세차익을 통해 이득을 보는 경우
사토시 : 비트코인 개발자로 알려진 사람의 이름이자 비트코인의 수량을 세는 단위이며
0.00000001 BTC = 1 사토시 입니다.
하드포크 : 기존의 블록체인과는 호환이 되지않는 새로운 블록체인에 다른 종류의 가상화폐를 만드는 것
소프트포크 : 기존의 블록체인과 새로운 블록체인이 서로 호환이 되는 업그레이드.
평단 : 코인을 구매한 평균 단가의 줄임말
매도벽 : 세력, 혹은 봇이 호가창에 몇호가 위아래로 어마어마하게 벽을 세워놓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는 유저들이 이가격이면 만족이다 하는 경우에도 특정한 가격에 주문이 밀려 벽이 형성됩니다.
에어드랍 : 어떤 코인을 가지고 있으면 , 공짜로 새로운 코인을 주는겁니다. 그 조건과 수량은
각 코인마다 다르며, 호재로 작용합니다. 예를들면 비트코인을 가지고 있으면 비트코인 캐시를 주는것도
에어드랍이라고 합니다.
스냅샷 : 위 에어드랍할때 정해진 시간, 혹은 정해진 블록에 가지고 있는 코인수를 측정하기위해
거래소에서 자료를 백업하는 것을 뜻합니다.
마스터노드 : 마스터노드(Proof of Stake[POS])란 특정 코인의 일정 지분을 가지고 코인을 채굴하는 방식입니다,
마스터노드를 소유하고 채결하기 위해서는 일정량의 코인을 지갑에 소지하고, 서버호스팅을 진행해 세팅을 하야합니다.
각 코인마다 필요코인수가 다르며, 대표적인 마스터노드 가능 코인은 대쉬, 피벡스 등이 있습니다.
메인넷 : 이더리움등의 블럭체인에서 분리되어 자신만의 플랫폼을 가지면서 토큰이 아닌 정식 코인으로 인정받는 것
독자적인 기술로 독립에 성공해야 코인으로 인정받습니다.
--- 코인판 언어 ---
가즈아(gazua) : 자신이 산 코인이 올라가주길 바라는 마음에 쓰는 단어이며, 부정탄다고 금기어로 쓰이기도 합니다.
선동충 : 알바인지, 코인을 산 사람의 간절한 염원인지는 몰라도 막 지난 호재를 가져와서 올른다고 사라고 하기도하고 구매를 유발하는 코인판의 암덩어리들입니다.
떡락충, 떡락무새 : 코인 가격이 조금이라도 떨어지기 시작하면 어김없이 바퀴벌레처럼 나타나는 아주 무서운 친구들입니다.
운전수 : 해당 코인의 가격을 조작/조종하여 장을 이끄는 세력
승차감 : 자신이 탄 코인이 안정적으로 우상향 하고 있을때 승차감 좋네요~ 이런식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약속알림봇 : 매번 튀어나와 가즈아 시간을 알려주는 로봇입니다.
존버 : 존나게 버틴다의 줄임말로서 정말 고단한 일입니다.
뇌피셜 : 자신의 뇌로 소설을써서 호재를 퍼트리는 행위
오피셜 : 뇌피셜의 반대말로 팩트인 사실.
호재 : 좋은소식
악재 : 나쁜소식
천하제일 단타대회 : 코인의 값이 개떡상하거나 개떡락할때 한국인들의 용감한 투기정신으로 그 위험한 와중에 단타를 치는 대회가 열리는 것을 뜻한다.
흙두루미 : (호구)를 뜻함.
시체 : 100원 하던 코인이 3분만에 1000원이 됬습니다. 하지만 1000원을 찍고 3분만에 다시 100원이 됬습니다.
이런상황에서 700층, 800층, 900층에 장렬하게 물려서 전사하신 분들을 시체라고 합니다, 그래서 그가격이 오면
다시 파는 분들이 많아서 시체 치우기 힘드네요, 라는 표현이 나오기도 합니다.
코린이 : 코인 어린이의 줄임말로, 코인을 시작한지 얼마 안된 유저들을 뜻합니다.
김치 : 한국인
버거, 버거형님 : 미국인
스시 : 일본인
---- 코인 별명 ----
치킨 : BCH > BHC 와 유사하여 비트코인 캐시를 치킨이라고 합니다.
아인이, 인이 : 아인스타이늄(EMC2) 코인을 칭하는 단어입니다.
아다, 카르다노, 에이다 : 에이다(ADA) 코인을 칭하는 단어입니다.
머장님, 대장님 : 머장님은 대장님의 급식체로서 머장님, 대장님은 비트코인을 뜻합니다.
리또속, 리도석 : 리플은 과학이다라는 말이 나올정도로 오를 것 같다가도 제자리로 회귀하는 현상
똥텀 : 큐텀이 오르는 시간은 세월아네월아 떨어지는 시간은 순식간이라 붙혀진말, 이젠 금텀으로 바뀌었죠~ ^^
슨트, 스테이크, 스테 : 스테이터스네트워크토큰(SNT) 코인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크리, 이클 : 이더리움 클래식 (ETC) 코인의 줄임말입니다.
'코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빗썸 BTC마켓 신규상장시 펌핑으로 2~3배 먹는 방법[콜라토큰(COLA) 신규상장시 연습] (0) | 2021.02.04 |
---|---|
2021년 2월 4일 업비트 펌핑코인(애드엑스,에브리피디아,스톰엑스,메탈,에스티피) (0) | 2021.02.04 |
스톰엑스 코인 너무 배아프다(엠블과 옵저버 스톰의 반만이라도 가라) (0) | 2021.02.03 |
2021년 2월 3일 업비트 저녁펌핑 목록(스톰엑스,캐리프로토콜,헌트) (0) | 2021.02.03 |
처음 코인을 시작하는데 필요한 필수 어플 (0) | 2021.02.03 |